반도체/소자 (4) 썸네일형 리스트형 [TCAD STUDY] 간단한 MOSFET Id-Vg Simulation examples의 sde.cmd command file (SDevice) 해석 *synopsis_sentaurus_user_manual을 보고 공부한 내용과 진행중인 프로젝트의 sample예제를 주로 이용한다. 1. File Section File Section에서는 시뮬레이션을 돌리는데 필요한 input file과 output file을 명시한다. 좌측 위의 sample에서는 ""(큰따옴표)사이에 해당 파일명을 적어두었는데 보통 아래 sample 과 같이 @(변수명)@ 형식으로 적어 node에서 바로 parameter를 수정한다. (parameter수정이 용이한 이유는 본 포스팅 이전의 글에서 설명한 preprocessing과정에서 SWB가 알아서 각 node에 해당하는 파일을 생성해주기 때문이다) 좌측 위의 sample에서 msh.tdr 파일은 직관적으로도 알 수 있듯 mesh.. [TCAD STUDY] 대략적인 tool 설명 TCAD를 사용하여 소자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기 앞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고 기록해두기로 했다. 주로 Sentaurus에서 제공하는 manual등을 이용하였으며 첫 포스팅은 TCAD Sentaurus Basic Traning과 반도체설계교육센터에서 VOD를 신청하여 들을 수 있는 Power Device 이론 및 TCAD Sentaurus를 활용한 Simulation수업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할 소자의 스케일이 아직 구체화된게 아니라 해당 수업에서 전력반도체소자보다는 TCAD사용 팁을 중심으로 공부했다. TCAD에는 내가 원하는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 다양한 방향성을 가진 Tool들이 있다. 실험시 소자의 구조적인 부분,공정, 전자기적인 부분, 실험결과를 어떤식으로 시각화 하는지 등 여러가지 의도.. poly-GeOI MOSFET 지난 글에서 SOI구조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해당 글에서 SOI구조의 단점을 언급하면서 전자 이동도가 떨어진다고 하였는데 GeOI (또는 GOI)는 그에 대안으로 연구되는 소자중 하나이다. 간단히 개요를 설명하면 SOI구조에서 실리콘을 저마늄(Ge)로 대체한 것이다. 이유는 Ge의 carrier (전자와 홀 둘다) mobilty(이동도)가 Si보다 높기 때문이다. 아래 표를 보면 Ge의 이동도가 월등히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Si Ge 전기음성도 1.9 2.01 전자 친화도 [eV] 1.385 1.23 1차 이온화 에너지 [eV] 8 7 전자 이동도 μn [cm^2/V*s] 1400 3900 홀 이동도 μp [cm^2/V*s] 470 1900 Ge는 반도체 산업 초기에는 .. SOI(Silicon-on-Insulator) 1. 미세화에 따른 누설 전류 증가 반도체 칩 생산 시 그 크기를 줄이는 것은 수율과 성능에 있어서 중요하다. 한 장의 웨이퍼에서 생산되는 칩의 수가 많을 수록 가격경쟁력이 올라간다. 칩 수를 늘리는 방법으로는 칩의 면적을 줄이거나 공정 개선 등을 통해 수율을 높이는 법이 있는데 그 중 칩의 면적을 줄이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회로의 선폭을 줄이는 것이다. 선 폭은 꾸준히 줄어들어 최근에는 3나노 공정까지 건드릴 수 있게 되었는데 회로가 미세화되면서 제품의 성능이 향상되고 전력소모도 줄어드는 장점이 있지만 물리적으로 너무 작아지는 선 폭 때문에 누설전류가 증가하고 소자 특성 제어과 공정이 어려워지는 등 단점이 발생한다. 그중에서 SCE(Short channel effect )로 인한 누설전류 문제를 극복.. 이전 1 다음